목록나누는 삶 (23)
공부하는 북극성

감각기관 수업 시 사용하기 좋게 만들어본 수업자료이다. 구조 별로 선을 연결하여 아이들에게 제공해도 좋고, 맨 그림 위에 아이들이 직접 연결하여 적어보게 해도 좋다. 선을 연결하고 빈 칸을 뚫어 아이들보고 직접 교과서나 인터넷을 통해 조사하여 적게 하였다. 시간은 5분이면 충분하다. 구글 프레젠테이션에서 부가기능인 페어덱을 이용한 활동이다. 다음에는 페어덱을 이용한 수업들을 몇 가지 소개해보려고 한다. (아이들이랑 수업시간에 배운 개념으로 공부하는 빙고게임을 하면 재밌다. ) 그림 다운로드 암호는 비밀 댓글로 남겨주시면 바로 남겨드리겠습니다. (용량때문에 따로따로 업로드합니다. 암호는 모두 같습니다.)

*모바일에서 수식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모바일 버전에서 보이지 않을 때: https://learningpolaris.tistory.com/25 *가로버전에서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무기화학 군론 - 점군 군론 - 지표표 군론 - 분자 진동 결합이론 -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이론 ① 입체수에 따른 분자 구조 전자쌍 반발의 원리에 의해 중심원자 A 주변에 원자 B를 배치하면 다음과 같다. 입체수 $S_N$ 4 5 6 분자구조 정사면체 시소 평면사각형 ② 정사면체 구조일 때 정사면체 구조일 때, A-B 결합에서 일어나는 신축진동의 가약 표현을 찾아야한다. 가약표현을 써보면 다음과 같다. ㉠ 가약표현 찾기 $T_d$ $E$ ..

*모바일에서 수식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모바일 버전에서 보이지 않을 때: https://learningpolaris.tistory.com/24 *가로버전에서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반응속도론 - 아레니우스식(반응속도상수의 온도 의존성) 반응속도론 - 활성화에너지 반응속도론 - 단일단계반응 ① 반응속도식 쓰기 반응 1과 반응 2는 단일단계반응이라고 했으므로, 각 반응의 반응물에 대한 1차 반응이다. 따라서, 각 반응별로 반응속도식을 쓰면 다음과 같다. $ 반응1\,:\,v_{1}\,=\,k_{1}[H][O_{2}] $ $ 반응2\,:\,v_{2}\,=\,k_{2}[H][H_{2}O]$ ② 반응속도에 대한 아레니우스 식 쓰기..

열역학 - 기본개념 열역학 - 내부에너지, 엔탈피 열역학 - 이상기체상태방정식 열역학 - Maxwell 관계식(맥스웰 방정식) 개념 공부가 필요하다면? ⇒ [열역학] 맥스웰 관계식 유도하기(Maxwell 관계식)/맥스웰 관계식 쉽게 찾기 0) 미리 숙지하고 가기 열역학 파트의 경우, 알고 있는 열역학 관계식을 조합하여 새로운 관계식을 만들어내거나 정답을 도출해야한느 경우가 대부분인다. 기본적인 열역학 관계식은 반드시 숙지하고 가야한다. $ dU\,=\,-pdV\,+\,TdS \;- 식㉠$ $ dH\,=\,Vdp\,+\,TdS \;\;\;- 식㉡$ $ dG\,=\,Vdp\,+\,-SdT\;-식㉢$ $dA\,=\,-pdV\,-SdT\;\,-식㉣$..

* 모바일 버전의 경우, 수식이 짤려보일 수 있습니다. 화면을 가로로 보면 모든 수식이 보입니다. ① 포함된 개념 증기압력 끓는점 비열 물질의 상태 상태변화 ② 풀이 그래프 𝙸,Ⅱ,Ⅲ 모두 이산화탄소이므로 일정한 압력에서의 비열이 같다. 그래프의 기울기를 확인하여 물질의 상태를 추론할 수 있다. 1) 같은 기울기 기울기가 같을 때는 비열이 같다는 의미이므로, 물질의 상태가 같다. (가) Ⅰ의 기울기 = Ⅲ의 두번째 기울기 $T_{1}$의 상태의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T_{1}$ 에서 경우 1 경우2 Ⅰ 액체 기체 Ⅲ 고체 액체 (나) Ⅱ의 두번째 기울기 = Ⅲ의 첫번째 기울기 $T_[1]$의 상태의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T_{1}$ 에서 경우 1 경우2 Ⅱ 고체 액체..

단원 대단원 2. 전기와 자기 소단원 1. 전기의 발생 성취기준 [9과 09-01] 물체가 대전되는 현상이나 정전기 유도 현상을 관찰하고 그 과정을 전기력과 원자 모형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차시 및 주제 2차시 전기력, 정전기유도, 번개의 원리(대전, 정전기유도, 방전) 중심 개념 및 키워드 개념 ① 전기력: 전기를 띠는 두 물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 ② 정전기 유도: 물체에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 ③ 방전: 모여있던 전하가 흐르는 현상 키워드 전기, 마찰전기, 대전, 대전체, 정전기, 정전기 유도, 전기력 수업전개 시간 내용 5분 설명 2분 + 활동 5분 = 7분 8분 3분 2. 전기는 어떻게 발견되었는가? (이어서) → 전기력, 번개, 정전기유도, 방전 ► 지난 시간 활동 되짚어 보기 (온라인..

마찰전기와 대전현상에 대해 아이들이 이해를 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미 '이온' 파트에서 원자가 가지고 작고 소중했던 전자가 이동하여 전하를 띠는 모습을 학습하였기 때문이다. 국가교육과정에서 이 부분을 학습함에 있어 성취하길 바라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9과 09-01] 물체가 대전되는 현상이나 정전기 유도 현상을 관찰하고 그 과정을 전기력과 원자 모형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아이들이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무엇으로? 원자모형으로! 개학 후 1차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에게 전자의 이동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그렇게 표현한 이유를 설명하라고 시켰더니, 우리 학생들은 글로는 간결하게 잘 설명하는데 그림으로는 그리지 못하는 것이다. 현재 내가 함께하는 아이들의 특성인 것 같지만, 이렇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