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북극성

2020학년도 화학2 수능기출풀이 15번[3점] 본문

나누는 삶/수능화학문제풀이

2020학년도 화학2 수능기출풀이 15번[3점]

북극성 ✰ 2021. 8. 26. 21:27
728x90
반응형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모바일 버전의 경우, 수식이 짤려보일 수 있습니다.

   화면을 가로로 보면 모든 수식이 보입니다. 

① 포함된 개념

증기압력

끓는점

비열

물질의 상태

상태변화

② 풀이

< 그래프 해석하기 > 

그래프 𝙸,Ⅱ,Ⅲ 모두 이산화탄소이므로 일정한 압력에서의 비열이 같다. 

그래프의 기울기를 확인하여 물질의 상태를 추론할 수 있다. 

 

1) 같은 기울기

기울기가 같을 때는 비열이 같다는 의미이므로, 물질의 상태가 같다.

 

 

   (가) Ⅰ의 기울기 = Ⅲ의 두번째 기울기

T1의 상태의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T1 에서 경우 1 경우2
액체 기체
고체 액체

 

 

 

   (나) Ⅱ의 두번째 기울기 = Ⅲ의 첫번째 기울기

T[1]의 상태의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T1 에서 경우 1 경우2
고체 액체
액체 기체

 

 

 

(가)와 (나)를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T1 에서 상태 시료
기체 C
고체 A
액체 B

 

ㄱ은 맞는 보기이다. 

 

 

< ㄴ 보기 >

PB 의 압력을 가지고 있는 시료 B에 해당하는 그래프 Ⅲ에서 확인한다. 

T2 에서 시료 B의 상태는 기체이다. 

 

끓는점은 대기압(현재 PB)과 액체의 증기압이 같아지는 온도이다. 

현재 시료는 이미 끓어있는 상태이므로 액체의 증기압은 T2  이전에 이미 PB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다. 

 

대기압이 PB 보다 높아 아직 끓지 않아 시료 B의 온도가 T2 에 도달했다면 증기압이 더 높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ㄴ 보기는 맞는 보기이다. 

 

 

< ㄷ 보기 >

압력이 PC 인 시료는 그래프 Ⅰ이다. 

그래프 Ⅰ를 보면 이미 T1 에서 이미 끓어버려 기체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끓는점이 T1 보다 낮았음을 알 수 있다. 

 

ㄷ 보기는 맞는 보기이다. 

 

 

그러므로 정답은 ⑤ ㄱ,ㄴ,ㄷ 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