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양자화학 (3)
공부하는 북극성

들어가며 드디어 2학기가 시작되고, 학생들이 화학결합을 양자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때가 되었다. 이제 3개 반 수업을 했는데, 첫 반에서부터 선형 결합 결과에 대한 의문을 많이 품길래 이미지화를 시켜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전에 만들어 두었던 궤도함수 코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혼성 궤도함수를 3D로 구현해보았다. 코드 공유1. 참고한 혼성 오비탈 선형결합 식 $h_1 = s + p_x + p_y + p_z$ $h_2 = s - p_x - p_y + p_z$$h_3 = s - p_x + p_y - p_z$$h_4 = s + p_x - p_y - p_z$ $sp2_1 = s + 2^(1/2) p_y$$sp2_2 = s + \frac{3}{2} ^(1/2) p_x - \frac{1}{2} ^..

들어가며 학생들과 양자 파트의 수업을 하면서 개념확인을 위한 자료들이 필요해졌다. 뤼드베리 공식을 이용하여 보어의 수소원자 모형에 의해 방출되는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이해하는 건데, 파장과 에너지 사이의 관계를 가볍게 이해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개념확인을 시켜주고 싶었다. 그런데, 참^^... 발머 계열은 선 스펙트럼 그림들이 많이 있는데 라이먼 계열과 파셴, 브래킷 계열은 깔끔한 그림이 없는 것이다. 결국 내가 그리기로 했다. 오비탈 모양 그리기 하면서, '검색만 잘하면 된다' 와 '모르면 애들한테 물으면 된다' 라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도전하게 되었다. matplotlib 의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그려보았음. 내 아이디어의 한계는 이게 끝인데, 더 좋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댓글로 아이디..

0. 들어가며 학생들과 양자역학을 공부하게 되면서 필요한 자료들이 많이 생겼다. 한국어로 검색하면 나오지 않는 그래프들도 많고, 영어로 검색해서 얻어내도 썩 마음에 들지 않는 데다가 서적이나 논문에 있는 자료가 아닌데, 이 자료를 믿으라고 제시하는 것이 썩 꺼림칙해서 직접 주어져있는 수식을 이용하여 그래프나 오비탈의 등가곡선을 구현하여 이해를 도와보고자 했다. 코딩의 ㅋ도 모르는 내가 파이썬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게 용기를 준 소스는 KMOOC 에서 제공하는 이 강의이다. 교수님께서 설명을 엄청 잘하셔서 정말 1도 모르는 사람도 잘 따라갈 수 있기 때문에 관심 있으면 추천한다.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POSTECHk+CHEM101+2021_T1/course/..